Function Calling 기반 AI 에이전트의 정확성 실험 #2

2025-09-14
tony

룰베이스에서 툴체인으로의 전환

지난 글(Function Calling 기반의 AI 에이전트의 정확성 실험 #1)에서는 Function Calling을 적용한 첫 번째 실험을 소개했습니다. 당시에는 기업 자산 리스트 전체를 불러와 AI가 직접 검색하는 구조를 사용했으나, 토큰 사용량 급증과 데이터 확장성의 한계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.

이에 두 번째 실험에서는 접근 방식을 달리했습니다. 초기에는 룰베이스(Rule-Based) 라우팅으로 개선을 시도했지만, 궁극적으로는 툴체인(Tool Chain) 구조로 전환하면서 정확성, 확장성, 그리고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높일 수 있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과 주요 시사점을 공유합니다.

1. 첫 번째 실험의 한계

초기 구조는 단순했습니다.

  • 사용자가 질문 → 전체 자산 리스트 호출 → AI가 내부 검색 → 결과 반환

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.

  • 토큰 사용량 폭증: 자산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입력 길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비용이 증가
  • 데이터 크기 제약: 약 500개 수준의 자산까지만 정상 작동, 그 이상은 처리 불가
  • 확장성 부재: 수천~수만 개 자산을 관리해야 하는 기업 환경에서는 적용 불가능

즉, 데이터는 맞더라도 답변 품질과 구조적 효율성이 떨어져 현업에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는 방식이었습니다.

2. 룰베이스(Rule-Based) 접근

2-1. 개념

룰베이스 접근은 사람이 사전에 정의한 규칙에 따라, AI가 특정 API를 호출하도록 강제하는 방식입니다.

  • “누구의 자산이 뭐야?” → 자산 검색 API 호출
  • “지난 분기 비용 절감 효과 알려줘” → 감가상각 API + 사용량 API 호출

2-2. 장점

  • 규칙이 명확해 예측 가능성이 높음
  • 단순 질의응답 환경에서는 안정적 성능 제공

2-3. 한계

  • 질문 패턴 증가 시 관리 복잡도 상승
  •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규칙을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함
  • AI는 규칙을 수행하는 역할에 그치며, 스스로 판단하거나 조합하지 못함

따라서 룰베이스는 문제 해결에는 일정 부분 기여했으나, 복잡성이 높아지고 확장성 면에서 뚜렷한 제약을 보였습니다.

3. 툴체인(Tool Chain) 접근

3-1. 개념

툴체인은 AI가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한 뒤, 스스로 적합한 Tool(Function)을 선택 · 호출하고, 응답을 가공하여 최종 답변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. 사람이 일일이 규칙을 설계하지 않아도 AI가 도구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3-2. 동작 과정

  1. 사용자가 질문: “현재 사용하지 않는 노트북은?”
  2. AI가 자연어를 Tool 입력 파라미터로 변환
  3. AssetSearch Tool 호출 → 결과 반환
  4. AI가 결과를 후처리해 정리된 답변 생성

현재 사용하지 않는 노트북은?

Slack은 누가 많이 사용하고 있어?

3-3. 장점

  • 유연성: Tool만 추가하면 AI가 맥락에 따라 조합 가능
  • 확장성: 데이터 규모와 무관하게 안정적 동작
  • 일관성: Tool 응답 스키마 기반으로 용어와 출력 포맷을 통일
  • 향상된 UX: 스트리밍 출력과 정돈된 포맷으로 가독성과 신뢰성 강화

4. 룰베이스 vs 툴체인 비교

룰베이스 VS 툴체

👉 정리하면, 룰베이스는 안정적이지만 경직된 구조이고, 툴체인은 더 유연하고 지능적인 구조입니다.

5. 사용자 경험(UX) 개선

툴체인 구조로 전환하면서 사용자 경험 또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.

  • 실시간 스트리밍 응답: 결과가 한 번에 출력되는 대신, 대화형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
  • 정돈된 출력 포맷: 항목별 요약, 리스트, 구분선 등으로 구조화된 답변 제공
  • 데이터 시점 안내: 맥락을 재활용할 경우 “이 답변은 직전 대화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었습니다”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해, 사용자가 최신 여부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

유형자산 현황 알려줘

개발팀 소프트웨어 사용현황 알려줘

이로써 사용자는 정확하고 깔끔하며 신뢰성 있는 답변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6. 성과와 시사점

툴체인 기반 구조로의 전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성과를 확인했습니다.

  1. 정확도 향상 – 용어와 표현이 일관되게 유지
  2. 확장성 확보 – 대규모 데이터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대응
  3. 비용 최적화 – 불필요한 토큰 사용 감소
  4. 사용자 경험 혁신 – 실시간 스트리밍 응답과 정돈된 포맷 제공

결론

Function Calling 기반 AI 에이전트의 정확성 실험 #2는 단순한 토큰 문제 해결을 넘어,

  • 룰베이스에서 출발하여,
  • 최종적으로 툴체인으로 전환함으로써,

정확성·확장성·사용자 경험이라는 세 가지 핵심 목표를 동시에 달성했습니다.

SELLEASE는 앞으로도 기업 자산 데이터를 더 지능적이고, 더 효율적이며, 더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겠습니다. 🚀

서비스가 궁금하세요?